반응형
MongoDB Compass 에서 (GUI 버전)
데이터베이스와 테이블(= collection)를 만들어본다.
평소 RDBMS만 사용했던 터라 바뀐 용어가 너무나 생소하다.
테이블을 만들었으면
여기에 내가 넣고 싶은 데이터를 추가해 줄 것이다.
compss에서는
_id 파일에 임의의 문자열을 자동으로 할당하므로 이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고 함.
그 아래에 데이터를 테스트 삼아 넣어줬다.
이렇게 정보가 저장되는게 보인다.
사용법들을 더 공부해야할 것 같다.
검색은 여기서 간단하게 할 수 있다.
728x90
반응형
'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이터베이스 정규화 - 어디까지 해야 할까? (0) | 2025.05.26 |
---|---|
SQL vs NoSQL 데이터베이스 & 최적화 기법 정리 (1) | 2025.05.09 |
MongoDB 접속 (MongoDB Compass 사용) (0) | 2025.02.26 |
교육용 무료 Oracle XE 21c 설치 및 롤백 오류 해결 (1) | 2024.03.13 |
[ORACLE] 구분 값과 정렬 컬럼이 다른 경우 (0) | 2023.04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