업무를 진행하다보니
도메인이 www 운영인지, dev 개발인지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었다.
알게 된 것 정리!
HttpServletRequest 객체를 request로 받는다고 가정한다.
로컬에서 테스트 했다.
예시 URL ) http://localhost:8082/aoslwj23/evt/hash.do
● request.getRequestURL() : URL 전체 주소를 가지고 온다.
- 리턴 타입 StringBuffer
ex ) http://localhost:8082/aoslwj23/evt/hash.do
● request.getRequestURI() : 도메인 네임을빼고 뒤 경로만 가지고 온다.
- 리턴 타입 String
ex ) /aoslwj23/evt/hash.do
● request.getContextPath() : 도메인 네임 빼고 맨 앞을 가지고 온다고 알고 있는데, 기본 컨텍스트를 사용하고 있어서 빈 값으로 출력 됐다.
- 리턴 타입 String
ex ) "" (null 값이 아니다.)
● request.getServletPath() : 서블릿 경로를 가지고 온다. (서블릿의 실제 이름을 리턴)
- 리턴 타입 String
ex ) /aoslwj23/evt/hash.do
● request.getQueryString() : ? 뒤의 파라미터 값을 가지고 온다.
- 리턴 타입 String
ex ) 본 값에서는 파라미터가 없으므로 null 값으로 출력됨
● request.getServerName() : 서버 네임
- 리턴 타입 String
ex) localhost --> 예를 들어 구글이라면 www.google.com 을 가지고 올 것
● request.getServerPort() : 서버 포트번호를 가지고 온다.
- 리턴 타입 Int
ex ) 8082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xcel POI 사용법 (0) | 2022.10.20 |
---|---|
[JSTL] 특정 문자열 포함 찾기: fn:contains / fn:containsIgnoreCase / fn:indexOf (0) | 2022.10.07 |
VS code에서 Java 실행 (0) | 2021.02.13 |
[파이썬] 기초 정리 (0) | 2020.12.09 |
[Spring Boot]_갠플정리/ 간단방명록 만들기 (2) | 2020.09.10 |